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QL
- Spring
- 열정은 쓰레기다 #system #독서후기
- 애자일 #데일리스크럼 #스프린트 #독서 #it #개발
- CNN
- U-Net
- zettelkasten #제텔카스텐 #파라 #지식관리
- MariaDB
- 비전
- unet
- 몰입 #유튜브
- 스크럼 #애자일조직문화 #애자일 #스프린트
- 애자일 #애자일조직문화 #스프린트 #스크럼
- 딥러닝
- MySQL
- 온톨로지 #하이퍼커넥션 #옵시디언 #세컨드브레인 #지식관리
- JPA
- Today
- Total
DevWalk
[독서] 마키아벨리 『군주론』 후기 본문
조직 관리자가 읽어야 할 책, 『군주론』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
이 한 문장으로 요약되는 책이 있다.
바로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이다.
『군주론』은 1513년, 이탈리아 피렌체의 외교관이자 사상가였던 마키아벨리가 실각 후 메디치 가문에 바치는 형식으로 쓴 정치 철학서이다. 이름처럼 '군주(리더)'가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고, 확장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다룬다.
하지만 이 책은 단순한 통치 매뉴얼이 아니다. 마키아벨리를 통해 쓰여진 군주론은 인간의 본성과 정치의 현실을 철저하게 분석하면서, 이상이 아닌 인간 본성에 대한 냉철한 통찰을 통해 냉혹한 현실주의의 길을 제시하였다. 덕분에, 이 고전은 5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수많은 리더들의 필독서로 자리 잡았다.
핵심 내용
1. "사랑받기보다 두려움을 받는 것이 낫다"
"사람은 사랑하는 군주보다 두려운 군주에게 더 복종한다."
마키아벨리는 통치자가 사랑받는 것보다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말한다. 사랑은 시간이 지나면 변할 수 있지만, 두려움은 사람을 억제하고 질서를 유지하게 만든다.
단, 지나친 공포 정치가 아닌 ‘미움받지 않는 두려움’을 강조한다. 즉, 벌을 줄 때도 정당하고 예측 가능하게 해야 한다.
2.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 (The end justifies the means)
“군주는 성공하기 위해서라면 비도덕적인 수단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마키아벨리는 정치에서 도덕이나 이상보다는 결과가 중요하다고 본다. 거짓말, 배신, 폭력조차도 통치 안정과 권력 유지를 위해 필요하다면 정당화될 수 있다.
이 사상은 '마키아벨리즘'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고, 현실 정치나 기업 경영에서도 자주 인용된다.
3. "포르투나(Fortuna)와 비르투(Virtù)"
“운명을 탓하기보다는, 자신의 능력으로 돌파해야 한다.”
‘포르투나’는 운, 환경, 시대의 흐름을 의미하고, ‘비르투’는 군주의 능력, 결단력, 통찰력 같은 역량이다. 마키아벨리는 좋은 군주는 운에 의존하기보다는 자신의 능력으로 운을 이겨내는 사람이라고 본다.
이 개념은 오늘날 리더십, 경영 전략, 자기 계발에도 깊은 통찰을 준다.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리더의 모습이 바로 ‘비르투’의 구현이다.
후기 및 인사이트
이 책은 내가 관리자라는 자리에서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 그 기준을 다시 성찰하게 해준 책이었다.
누구나 좋은 상사가 되고 싶어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늘 최선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하는 입장에서, 군주론은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해준다.
아래는 내가 이 책에서 가장 크게 느낀 세 가지다.
- 관리자는 인기보다는 책임을 져야 한다
누구나 나이스한 사람, 멋진 상사로 보이고 싶을 것이다.
하지만 때로는 불편한 결정을 내려야 할 순간이 온다.
여럿의 불편한 시선을 감수하더라도, 조직의 방향을 설정하는 일은 리더의 몫이다.
그 과정에서 생기는 부담 역시, 끝까지 책임지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걸 다시 한 번 느꼈다. - 운보다 중요한 것은 준비된 능력(비르투)
“운이 안 좋았다고 말하기 전에, 준비된 리더는 그 운을 돌파할 힘이 있다.”
위기를 탓하지 않고 대응력을 키워야 한다. 시간이 갈 수록 크게 느끼는 부분이다. 결국 실력이 운이고 운도 실력이구나. - 도덕과 이상만으로는 조직이 굴러가지 않는다
윤리와 원칙 너무 중요하다. 하지만 현실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빠르다.
상황에 따라 유연하고 전략적인 판단이 필요하다는 점을 느낄 수 있었다. 관념의 허구에서 벗어나야한다.
'후기 > 독서 및 유튜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열정은 쓰레기다' 후기 (0) | 2025.04.20 |
---|---|
[유튜브] 부자들은 이걸 다 끊었어요 – 가난한 사람의 뇌는 왜 망가졌는가? (1) | 2025.04.20 |
Range 후기 (0) | 2023.06.10 |
일을 잘한다는 것(야마구치 슈) 후기 (0) | 2023.06.04 |
개발자의 글쓰기 책 (0) | 2023.02.13 |